# 크리스마스는 최고의 이벤트 시즌이다. 블록체인 스타트업 민트베이스(Mintbase)도 크리스마스를 맞아 작은 이벤트를 준비했다. 참여 방법은 간단하다. 12월 1일부터 24일까지 매일 오후 5시에 민트베이스 사무실로 직접 찾아와 선물을 받아 가면 된다. 그런데 선물을 받는 장소가 독특하다. 베를린에 위치한 민트베이스의 사무실이 아니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에 지어진 가상 오피스(Virtual office)였다.
NFT 발행 대행사 민트베이스는 12월 한 달 동안 크리스마스 시즌 NFT 에어드랍 이벤트를 진행했다. 유저는 매일 크립토복셀 월드에 지어진 민트베이스 가상 오피스를 방문해 선물을 받았다. 선물은 링크 형태로 사무실 곳곳에 숨겨져 있었으며, 유저는 보물찾기 게임을 하듯 NFT 상품 링크를 찾아 돌아다녔다. 이번 이벤트에는 △트러스트 월렛 △논스 △마이크립토 히어로즈 △오픈시 등 유명 블록체인 팀들이 후원사로 참여하기도 했다. 이벤트에 참여했던 논스의 하시은 대표는 “기존에도 온라인 공간에서 선물을 주는 이벤트는 많았지만, NFT처럼 희소성이 있는 자산을 제공한 경우는 별로 없었다”고 전했다.
가상 갤러리에서 크립토아트 구경해봤니?
갤러리에 전시되는 모든 작품은 NFT다. 해당 작품이 원본인지, 몇 개의 사본이 존재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구매 또한 간편하다. 마음에 드는 크립토아트를 클릭하면 해당 작품의 소유주와 함께 NFT 거래사이트 ‘오픈시’와 연결된다.
크립토아트 발행 및 중개 플랫폼 ‘수퍼레어(SuperRare)’는 크립토아트가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가장 혁신적인 방법이라고 말한다. 수퍼레어는 “크립토아트는 소유 기록을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어 소셜미디어 환경에 적합하다”며 “나아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할 경우 아티스트에게 분명한 로열티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1월 부산에서 열린 지스타 컨퍼런스에서 김균태 해시드 파트너는 “게임으로 예를 들면 게임 속 가상현실에는 마켓플레이스나 화폐 경제처럼 현실 세계와 닮은 구석이 있지만, 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법칙이 없었다”며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하나의 변수(중앙화된 주체)에 좌지우지 않게 되는 물리법칙을 만들어 더 단단한 경제 사회를 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NFT를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는 크립토의 장점을 활용한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하시은 논스 대표는 “(블록체인이 더해진 가상현실 콘텐츠는) 굳이 크립토가 필요하지 않음에도 억지로 사용하는 케이스가 아니라 실제로 말이 되고 사람들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사례”라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크립토 입장에서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조재석기자 cho@decenter.kr
- 조재석 기자
- cho@decent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