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한국은 웹3 실험 최적지”···쿼크체인, 수수료 없애 진입장벽 낮춘다 [디센터 인터뷰]

■치 조우 쿼크체인 창업자 인터뷰

별도 가상자산 없이 지갑 만들면 거래 가능

온체인 AI·이더리움 개선안 실험 병행 추진

치 조우 쿼크체인 창업자가 16일 서울 강남구에서 디센터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방한은 쿼크체인의 한국 시장 실험 확대를 위한 행보의 일환이다. 도예리 기자.


“한국은 기술 인프라도 뛰어나고 웹3 사용자 기대 수준도 높습니다. 우리가 실험하고 싶은 것을 보여주기에 가장 좋은 시장입니다.”

치 조우 쿼크체인 창업자는 16일 서울 강남구에서 서울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2019년 이후로 6년 만에 한국을 찾은 그는 수수료 없이 쓰는 블록체인, 온체인 인공지능(AI) 등 구체적 실험 계획을 들고 왔다. 조우 창업자는 “거래 수수료 부담을 없애 수십억 명의 신규 사용자가 웹3로 진입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쿼크체인은 블록체인 플랫폼이다. 최근에는 이더리움 메인넷과 연결되는 레이어2(L2) 방식으로 전환을 준비 중이다. 2018년 NH투자증권과 업무협약을 맺고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관리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 바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제도가 마련되지 않았던 당시에는 협약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조우 창업자가 내놓은 핵심 기술 중 하나는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고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다. 쿼크체인은 사용자가 지갑을 만들기만 하면 별도의 가상자산 구매가 없어도 초기 거래 수수료를 처리할 수 있는 ‘소울 가스토큰’(SGT·Soul Gas Token)을 도입했다. 이 토큰은 다른 사람에게 양도가 불가능하며, 미리 정해진 수량만큼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현재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사용자는 업비트나 빗썸 같은 거래소에서 코인을 구매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개인 지갑으로 옮기면 거래 수수료가 지갑에서 코인 등으로 빠져나간다. 정작 서비스를 체험하기도 전에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점은 웹3 대중화를 가로막는 주요 장벽으로 지적돼 왔다. 쿼크체인은 이런 진입 장벽을 허물고, 거래 수수료 부담을 없애겠다는 목표로 소울 가스토큰을 도입했다.

쿼크체인이 준비하는 또 다른 실험은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의 결합이다. AI가 학습하는 데이터와 결과물을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그 내용을 여러 사람이 함께 관리하는 온체인 AI 구조를 구축 중이다. 이를 위해 AI 특화 운영체제(OS) 개발 스타트업 엘리자OS(Eliza OS)와 파트너십을 맺고 테스트넷 연동을 완료했다. 조우 창업자는 “AI가 사람 대신 의사결정을 내리는 시대에는 그 과정이 투명해야 한다”며 “온체인 인프라를 통해 AI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쿼크체인은 이 같은 기술 실험을 통해 이더리움 실험 특구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조우 창업자는 “이더리움 메인넷은 보수적인 업그레이드 주기를 가져갈 수밖에 없다”며 “쿼크체인이 먼저 실험을 수행하고, 안정성이 검증된 기술을 다시 메인넷에 환원하는 구조를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에도 이더리움 개선 제안서(EIP·Ethereum Improvement Proposal)를 여러 건 작성했다. 이중 일부는 최근 공식 안건으로 채택돼 주목받고 있다. EIP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 기능 추가, 기술적 문제 해결 등을 위해 개발자들이 공식 제출하는 개선 제안서다. 채택되면 메인넷에 반영되고, 그렇지 않으면 폐기된다.

조우 창업자는 이번 방한을 기점으로 쿼크체인의 한국 내 활동도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쿼크체인은 하반기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를 포함해 국내 개발자 커뮤니티와의 접점을 넓히기 위한 이벤트도 검토 중이다. 그는 “기술은 결국 사용자가 직접 써보고 검증해야 한다”며 “한국은 웹3 기술의 실생활 접목을 가장 먼저 실현할 수 있는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쿼크체인(QKC)은 업비트, 빗썸 등 국내 주요 원화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도예리 기자
yeri.do@sedaily.com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