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검색창 닫기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 BTC
  • ETH
  • XRP
  • BCH
bithumb제공 bithumb제공

비댁스, 원화코인 ‘KRW1’ 기술검증

100% 원화 담보·실시간 검증…기술 안정성↑

송금·결제·공공 지급결제까지 활용 범위 확대



비댁스가 시중은행과 손잡고 아발란체 블록체인 기반 원화 스테이블코인 ‘KRW1’의 기술 검증을 완료했다. 원화 증거금 예치부터 블록체인 검증까지 전 과정을 마치며 국내 스테이블코인 기술 실증의 첫 사례로 꼽힌다.

비댁스는 18일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기술검증을 마쳤다고 밝혔다. KRW1은 비댁스가 2023년 12월 상표 등록을 마친 독자 브랜드다. 비댁스는 설립 초기부터 스테이블코인이 디지털자산 시장의 핵심 인프라가 될 것으로 보고 선제적으로 기술 개발과 투자를 이어왔다.



이번 발행에서는 발행 관리 시스템과 함께 사용자 간 이체·검증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도 구현했다. 100% 원화를 담보로 시행됐다. 증거금은 시중은행 계좌에 예치된다.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연동을 통해 담보금 상태를 실시간 검증할 수 있도록 해 신뢰성을 강화했다.

KRW1은 아발란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했다. 아발란체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공공망 활용 가능성을 언급한 글로벌 블록체인 인프라다. 아발란체가 운용하는 블리자드 펀드는 지난해 비댁스에 투자했다. 김용일 아바랩스 아시아 대표는 “KRW1 발행은 규제에 부합하는 스테이블코인에 최적화된 블록체인의 필요성을 보여준 사례”라며 “아발란체의 기술은 비댁스와 그 얼라이언스 기관들이 한국 디지털경제를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댁스는 KRW1을 송금·결제·투자·예치 등 전반적인 금융 영역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민생회복지원금 같은 공공 지급결제에도 적용해 수수료 부담을 낮출 수 있다는 구상이다. 비댁스는 KRW1이 향후 디지털자산 기본법에서 제안되는 스테이블코인 기술 표준으로 채택되는 것도 기대하고 있다. 비댁스 관계자는 “이번 발행은 본격 유통이 아닌 기술 검증 단계로 법률 위반 소지가 없다”고 설명했다. 경쟁사와의 차별성에 대해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커스터디·은행 인프라를 일괄 구비한 유일한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라고 밝혔다. 향후에는 다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확장과 더불어 테더(USDT) 같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과의 연계도 추진할 방침이다.

류홍열 비댁스 대표는 “비댁스는 단순히 자산을 보관하는 커스터디 기업이 아니”라면서 “디지털 자산 시장 인프라를 제공하고 법인 및 기관투자가를 포함해 공공기관까지 다양한 사용자 자산을 관리하는 파트너로서, KRW1은 사용자 가치 증대와 시장 신뢰를 높이는 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도예리 기자
< 저작권자 ⓒ 디센터,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메일보내기